
◳ 성경 본문 : 데살로니가전서 1:1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① (함께/혼자) 성경 읽기
② 의미를 생각하며 성경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성경 읽기
단어 설명
은혜 : 자격 없는 자에게 베푸는 신의 호의.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죄인은 하나님으로부터 무조건적 용서, 칭의, 하나님의 백성이 됨 등의 놀라운 선물을 받는다.
평강 : 샬롬의 헬라어 표현.
평강은 단지 마음의 평화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 인간 상호 간의 관계 및 인간과 피조물과의 관계에서 교제와 조화를 이루는 온전함의 유대적 개념과 관련이 있다.”(Jeffrey)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1절
Q. 1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데살로니가 전서의 저자는 사도 바울입니다. 왜 바울은 자기 뿐 아니라 실루아노와 디모데를 언급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두 사람 모두 데살로니가 교회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실루아노는 교회를 설립하는 일에(행 17:1~10), 디모데는 이어서 교회를 굳건하게 하는 일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살전 3:1~5). 그러므로 이 두 사람을 공동 발신자로 포함시킨 것은 바울의 편지에 중요성이나 권위를 한층 더 강화시킨다.”(Jeffrey A. D. Weima, BECNT)
Q. 바울은 많은 편지에서 자신을 ‘사도’로 소개합니다.(특히 로마서, 고린도전후서, 갈라디아서) 왜 데살로니가전서에서는 단지 ‘바울’이라고 썼을까요?
A. “바울의 사도직이 데살로니가 교회에서는 쟁점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편지 서두에서 바울은 자신의 지위를 주장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Jeffrey)
**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에 보내는 두 편지에서 자신의 사도직을 단 한 번 언급하며(살전 2:7a), 이 단 한 번의 예도 바울의 권위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반대의 요점을 보여 주는 데 기여한다."(Jeffrey)
Q. 데살로니가 교회의 신자들 대부분은 이방인들이었다. 바울이 그들을 ‘교회’라고 언급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요?
A.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으로 고대 이스라엘과 연속선상에 있다는 중요한 신학적 진리를 보여준다.”(Jeffrey)
** 구약 시대에 하나님의 백성은 유대인들만 해당되었다. 그러나 주 예수께서 구원 사역을 이루심으로써 이방인들도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다.
Q. 바울은 인사말로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라고 말씀합니다. 이 인사말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A. “바울이 헬라식 인사 ‘카이레인’(문안하노라)을 취하여 이와 유사한 소리를 내는 ‘카리스’(은혜)로 ‘기독교화’ 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바울은 전형적으로 유대식 인사인 ‘평강’에 ‘카리스’를 덧붙여 ‘은혜와 평강’으로 새롭게 결합시켰다. 이것은 자신의 이방 그리스도인과 유대 그리스도인 청중을 진정으로 포함하는 인사가 되게 했다.”(Jeffrey)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