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본문 : 데살로니가전서 2:17~18
17 형제들아 우리가 잠시 너희를 떠난 것은 얼굴이요 마음은 아니니 너희 얼굴 보기를 열정으로 더욱 힘썼노라
18 그러므로 나 바울은 한번 두번 너희에게 가고자 하였으나 사탄이 우리를 막았도다
① (함께/혼자) 성경 읽기
② 의미를 생각하며 성경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성경 읽기
단어 설명
17절
너희를 떠난 것은 : 문자적으로 “고아가 되다.”
비유적으로 누군가로부터 ‘분리되다’, ‘빼앗기다’(Friberg)“바울은 자신과 동역자들을 어쩔 수 없이 데살로니가를 떠나게 되어 자신들이 데살로니가 신자들로부터 고아가 된 것을 의미하는 자녀로 제시한다.”(J. Weima)
18절
한 번 두 번 : “여러 번(두 번 혹은 그 이상)을 나타낸다.”(Morris)
사탄 : 마귀를 일컫는 말.
원어로 ‘고소자’라는 뜻.(Danker)
문맥 설명
“2장 17~20절의 중심 주제는 바울이 데살로니가 신자들을 떠나 있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것이다.”(J. Weima)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17절
Q. 17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바울과 동역자들은 어떤 이유로 데살로니가 교회를 떠나게 됐나요?
A. 데살로니가에 있던 유대인들의 박해를 피해서
*** 데살로니가에서 바울의 복음 전도로 많은 헬라인들이 바울을 따랐다. 이를 시기한 유대인들이 불량배들을 불러모아 떼를 지어 야손의 집에 침입해서 바울 일행을 끌어내려고 했으나 찾지 못했다. 그 때문에 형제들이 밤에 몰래 바울과 실라를 베뢰아로 보냈다.(사도행전 17장 1~10절)
Q. 데살로니가 신자들은 바울 덕분에 신자가 되었는데, 떠난 바울이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바울의 부재는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어떤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한 가지 가능성은 교회 밖의 반대자들, 즉 동족이 데살로니가 신자들에 대한 바울의 동기와 사랑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했을 수 있다.”(J. Weima) “또 하나의 가능성은 데살로니가 신자들이 박해로 어려운 날 동안, 그들의 ‘아버지’(바울)가 자신들을 버렸다고 잘못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Calvin)
Q. 17절에 나타난 바울의 말씀은 어떤 느낌이나 생각을 주나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앞에서(15~16절) 유대인 일부에 대한 바울의 언사가 거친 어조인 반면 2장 17~20절에서 바울의 언사는 매우 감동적이고 애정 어린 성격으로 주목할 만하다. ‘형제들아’라는 표현은 깊은 애정의 표출이다. 자신을 ‘고아’로 표현한 것은(단어설명 참조) 이러한 떠남이 동반하는 깊은 상실감과 슬픔을 떠올린다. ‘너희 얼굴 보기를 열정으로 더욱 힘썼노라’는 바울이 가진 단순한 갈망 이상을 나타낸다. 바울 편에서 자신의 갈망을 성취하려는 실제적인 노력을 했음을 의미한다.”(J. Weima)
18절
Q. 18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Q. 사탄이 어떻게 바울이 데살로니가로 돌아가는 것을 막았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유대인들이 바울에 대해 음모를 꾸미고 있었을 수 있다. 데살로니가 시 지도자들이 데살로니가 그리스도인에게 요구했던 법적 금지와 보석금을 의미했을 수 있다. 혹은 바울이 육체적 질병으로 쇠약해진 점을 가리킬 수 있다.”(J. Weima)
Q. 바울은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그들을 향한 자신의 마음과 그들에게 가지 못한 이유를 말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바울은 데살로니가 신자들을 뜨거운 마음으로 사랑했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바울을 오해하여 낙담하거나 바울이 전한 복음을 거부할까봐 걱정했을 것이다. 바울은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데살로니가 신자들을 배려하여 말한 것이다.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