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본문 : 데살로니가후서 2:1~2
1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에게 구하는 것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하심과 우리가 그 앞에 모임에 관하여
2 영으로나 또는 말로나 또는 우리에게서 받았다 하는 편지로나 주의 날이 이르렀다고 해서 쉽게 마음이 흔들리거나 두려워하거나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라
① (함께/혼자) 성경 읽기
② 의미를 생각하며 성경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성경 읽기
단어 설명
2절
영으로나
: 여기서는 잘못된 예언이나 영적 주장, 즉 성령을 빙자한 거짓 메시지를 가리킨다.
문맥 설명
“자신의 종말론적 운명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는 어린 데살로니가 교회가(살전 5:1-11) 몹시 겁을 먹고서 자신들이 심판의 날과 관련된 하나님의 진노를 피하여 구원을 경험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무서워했다.”(J. Weima)
바울은 화제를 전환하여 주의 강림하심과 관련하여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권면을 시작한다.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1-2절
Q. 1-2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데살로니가 신자들은 “주의 날이 이르렀다”는 소식 때문에 무엇을 하지 말라고 하나요?
A. 쉽게 마음이 흔들리거나 두려워하거나 하지 말아야 한다.
** “바울이 호소하는 형태인 ‘우리가 구하는 것은’을 사용함으로써, 좀더 따뜻하고 우호적인 어조를 제공한다.”(J. Weima)
Q. 왜 데살로니가 신자들이 주의 날이 이른 것 때문에 쉽게 마음이 흔들리거나 두려워할 수 있었나요?
A. 주의 날이 이르렀다는 소식을 들었으나 주님을 맞이하지 못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
** 데살로니가 교회에 주님의 날이 이미 임했다고 가르친 사람이 있었다. 그것을 들은 신자들은 자신이 주의 강림을 맞이하지 못했다고 생각하고 자신은 구원받지 못한 것이 아닌지 두려워할 수 있었다. “데살로니가전서 5장 1~11절은 데살로니가 신자들이 주의 날과 관련된 진노를 피해 구원을 경험할 수 있을지에 대해 걱정했음을 보여준다.”(J. Weima)
Q. 사도 바울은 주의 날이 이르렀다고 말하는 세 가지 경로를 언급합니다. 세 가지가 무엇인가요? 데살로니가 신자들은 각각 어떤 식으로 주의 날에 관해 거짓된 소식을 들을 수 있었나요?
A. ① 영으로 : 미혹하는 자가 영으로부터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할 수 있었다. 특히 예언의 형태로.
② 말로 : 미혹하는 자는 교묘한 말로 신자들에게 거짓된 가르침을 줄 수 있었다.
③ 우리에게서 받았다 하는 편지로 : 바울 일행이 보내지 않은 편지를 받았다고 거짓말을 해서 신자들을 속일 수 있었다. 혹은 “데살로니가전서(5:1-11)에서 바울은 주의 날이 갑자기 올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신자들 중 일부가 이미 주의 날이 실제로 임했다는 결론을 내렸을 수도 있다.”(F.F. Bruce)
Q. 어떤 이들이 데살로니가 신자들을 주의 강림에 관한 거짓 가르침으로 미혹하려고 했습니다. 그렇게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근본적으로 미혹하는 자들은 속임수를 이용해서 자신의 이익을 채우려는 속셈을 가진다. 신자들에게 두려움을 주입해서 그들을 자기의 뜻대로 조종하려고 할 것이다. 혹은 주장하는 자가 스스로 미혹되었는지도 모른다.
Q. 현대에도 주의 강림에 관하여 속이는 일들이 있습니다. 아는 사건이 있다면 얘기해 보세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사례1) 다미선교회 이장림 목사는 1992년 10월 28일 휴거가 일어난다고 가르쳤다. 이 미혹에 넘어간 많은 신자들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다. 학생들이 학교를 가지 않았고, 어느 주부는 가정을 버리고 집을 나왔으며, 어떤 이는 직장을 그만두거나 재산을 팔아서 헌금으로 바쳤다.
사례2) 2009년 케냐에 한 남성(이름은 에리우드 웨케사)이 자신이 재림 예수라는 메시지를 하나님으로부터 받았다고 주장했다. 마을 사람 수백 명이 그를 추종하기 시작했고, 2025년 현재 100만명이 그를 예수라고 믿고 따르고 있다.
사례3) 한국에만 재림예수가 50명 있다고 한다(출처: 한겨레신문 2020.3.16.)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