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0

베드로전서 1:8~9

◳ 성경 본문 : 베드로전서 1:8~9
8 예수를 너희가 보지 못하였으나 사랑하는도다 이제도 보지 못하나 믿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하니
9 믿음의 결국 곧 영혼의 구원을 받음이라

① (함께/혼자) 성경 단락 읽기 (벧전 1:3~12)
② 의미를 생각하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단어 설명
9절
결국
: 맺을 결(結), 판 국(局). 일의 마무리(結) 단계(局).[속뜻사전] 정점 모드에 초점을 맞추다. ‘결과’, ‘끝’.(Danker)

문맥 설명
고난은 믿음의 확실함을 드러내서 주의 재림 때 칭찬과 영광과 존귀를 얻게 할 것이다. 베드로는 신자가 장래 구원에 대한 믿음이 현재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말씀한다.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8~9절
Q. 8~9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어떻게 예수님을 보지 못했으나 사랑할 수 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사람들은 흔히 사랑을 로맨틱한 감정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성경적인 사랑은 감정은 부수적이고 사랑의 더 분명한 특징은 의지와 행동이다. 신자들이 믿음을 지키고 주님을 따르는 것은 주님을 사랑하는 확실한 증거이다. 성령의 내적 조명과 역사로 그리스도의 은혜가 마음에 적용될 때, 신자는 그리스도를 전 인격으로 사랑할 수 있다.

Q. “보지 못하나 믿는다”는 표현은 신앙의 어떤 특징을 보여줍니까?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눈에 보이는 것은 볼 수 있을 뿐 믿을 수는 없다. 믿음은 본질적으로 그 대상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이 구절은 신앙은 눈에 보이는 증거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님의 약속과 말씀에 대한 신뢰 위에 서 있음을 나타낸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는 나를 본 고로 믿느냐 보지 못하고 믿는 자들은 복되도다 하시니라”(요 20:29)

Q. 고난 받는 신자들이 어떻게 예수님을 사랑하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할 수 있었을까요?
  A. 믿음의 결국 곧 영혼의 구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 믿음의 결과는 구원이다. 영혼의 구원이란 단지 영혼의 구원만을 의미하지 않고 육체의 부활을 포함한 전인적인 구원을 의미한다. 8절의 주 동사는 ‘사랑하다’와 ‘기뻐하다’이다. “신자들은 장래의 구원에 대한 기대 때문에 사랑하고 기뻐한다.”(Schreiner)

Q. 신자들은 고통 중에 있었고, 아직 구원이 완성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구원 받았음에 대해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할 수 있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성령의 열매 중 하나가 희락이다. 신자 안에서 일하시는 성령님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큰 기쁨을 샘솟게 하신다. 믿음은 보이지 않는 미래의 구원을 현실에서 실체로 만든다. 신자들은 환경에 지배 받지 않고 믿음으로 자기의 영혼 구원 때문에 기뻐할 수 있다. “‘영광스러운’은 7절의 ‘영광’과 연결되어 종말론적 영광이 의도되었음을 제시한다. 기쁨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며 저절로 생기지 않음을 보여 준다. 5절과 같이 구원은 종말론적이며 마지막 날에 완성된다. 그러나 기쁨은 지금 경험된다.”(Schreiner)

Q. 어떻게 우리가 이 세상에서 구원으로 말미암아 예수님에 대한 사랑과 기쁨으로 가득할 수 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순전한 믿음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순전한 믿음은 불 시험과 같은 고난의 과정을 통해 나온다. 베드로전서 수신자인 신자들은 고난 속에서 믿음의 확실함이 드러났고, 근심이 있어도 기뻐하였다(6,7). 8,9절에 의하면, “신자들의 사랑과 기쁨은 종말론적 구원의 소망에 뿌리를 둔다.”(Schreiner) 아이러니하게도 사랑과 기쁨은 신자의 ‘고통 속에서 정련된 믿음’으로부터 나온다.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