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0

야고보서 3:9~10

◳ 성경 본문 : 야고보서 3:9~10
9 이것으로 우리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고 또 이것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나니
10 한 입에서 찬송과 저주가 나오는도다 내 형제들아 이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

① (함께/혼자) 성경 단락 읽기 (약 3:1~12)
② 의미를 생각하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단어 설명
9절
저주
: 욕할 저(咀), 빌 주(呪).
미운 이에게 욕하며(咀) 재앙이나 불행이 닥치기를 빎(呪).[속뜻사전]

문맥 설명
혀는 작지만 큰 영향력으로 전 인생 과정을 파괴할 수 있지만 그것을 능히 길들일 사람이 없다. 이제 야고보의 관심이 신자들의 혀 사용에 관한 실제적 문제로 이동한다. “9~12절의 주제는 혀의 이중성 문제다.”(Moo)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9~10절
Q. 9~10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야고보가 언급한 ‘저주’는 어떤 말인가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저주는 하나님에게 호소하여 한 사람이 어떤 복도 받을 수 없도록 만들며 그 사람을 지옥으로 가게 만드는 것이었다.”(Moo) 야고보가 합당하지 않다고 언급한 ‘저주’는 단지 저주뿐 아니라 욕이나 비방, 험담, 은근히 헐뜯는 말, 뒷담화, 조롱이나 비아냥거리는 말, 무시하는 말, 무례한 말, 모욕적인 말 등 이웃을 해치는 모든 말을 포함한다.

Q. 왜 신자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면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는 것이 문제일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하나님을 찬송하면서 동시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는 일은 모순이다. 하나님을 찬송한다면, 하나님을 닮은 사람을 축복해야 마땅하다. “저주는 저주받는 사람을 창조하신 분에 대한 모욕이고, 그리스도의 명령에 대한 직접적인 불순종이다(눅 6:28)”(McCartney) “너희를 저주하는 자를 위하여 축복하며 너희를 모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눅 6:28)

Q. 왜 신자가 한 입으로 찬송과 저주 두 가지를 말할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두 마음이다.”(McCartney) 이것은 성령과 육신의 갈등을 보여준다. 신자는 타락한 육신의 영향을 받아 다른 사람을 저주할 수 있다. 그러면서 예배 때마다 하나님을 입으로 찬송한다. 이러한 갈등은 성화되지 못한 신자의 상태를 나타낸다.
혹은 그 신자가 성령으로 거듭나지 못한 형식적인 교인일 수 있다. 그는 구원 받지 못한 자이고 찬송은 위선에 불과하다.

Q. “내 형제들아 이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는 말씀에서 야고보의 어떤 마음을 알 수 있나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야고보는 독자들의 이중적이고 모순된 모습을 접하고서 단호하게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고 말씀한다. “이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되며 절대로 안 된다고 열정적으로 선포하는 것이다”(LSJ) 그럼에도 “내 형제들아”라는 말 속에 야고보의 애정이 담겨 있다.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