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0

2109 고립, 인기(4:7~16)

성경 : 전도서 4장 7~16절

1. 함께 성경읽기

2. 단어의 뜻 알아보기
   8절 부요 : 富 부할 부, 饒 넉넉할 요.
         재물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8절 행복 : 幸 다행 행, 福 복 복.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한 상태.
        원어로 ‘좋은 것’, ‘혜택’을 뜻함.

   16절 치리 : 治 다스릴 치, 理 다스릴 리.
            나라나 지역을 도맡아 다스림.

           무수 : 無 없을 무, 數 셈 수.
           헤아릴 수 없음. 원어로 ‘끝이 없다’임.

3. 세 가지 질문을 생각하며 성경 다시 읽기
   ① 무슨 뜻인가? What
   ② 왜인가? Why
   ③ 어떻게 살까? How

4. 생각의 시간

5. 본문이 무엇을 말씀하는지 생각 나누기

6. 자녀가 궁금한 것을 질문하고 함께 토의하는 시간

먼저, 자녀가 말씀에 관해 궁금한 것을 질문합니다.

[7~12]

Q. 8절에 묘사된 사람은 어떻게 사는 사람인가요? 그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A. 홀로 살면서 일만 하는 사람.

** “히브리어 어구로 '완전히 혼자인 사람'. 그는 친구가 없거나, 사업 파트너도 없거나, 아내가 없는 일반적인 사람을 의미한다.”(Greidanus) 가족이나 친구도 없이 그는 홀로 수고하되 끝이 없이 모으기만 한다. 재물을 충분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채 계속 일하지만 정작 자신은 행복을 누리지 못한다.

Q. 8절, 부자의 독백, “내가 누구를 위하여는 이같이 수고하고 나를 위하여는 행복을 누리지 못하게 하는가?”는 무슨 뜻이고, 그 대답은 무엇인가요?
  A. “대답은 아무도 위하지 못한다”(Greidanus)

** “그에게는 그의 모든 부에서 유익을 얻을 '둘째가 없으며', 동반자가 없다. 그는 자신의 재산을 물려받아 유익을 얻을 아들이나 형제도 없다. 그는 완전히 혼자다. 그는 자신에게도 유익을 끼치지 못한다. 그가 자신의 '행복'을 스스로 빼앗기 때문이다.”(Greidanus)

Q. 8절, 왜 홀로 일만 하면서 누리지 못하면서 계속 일만 할까요? 주변에서 그러한 사람을 본 적이 있다면 얘기해 보세요.
  A. 탐욕 때문.

**  “그의 눈은 부요를 족하게 여기지 아니하면서”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결코 채울 수 없는 것을 채우려고 한다. “욕망의 지체인 눈은 만족을 모른다.”(Crenshaw) “그는 악한 챗바퀴에 갇혔다. '그의 모든 수고에는 끝이 없도다'.”(Greidanus)
결과는 끊임 없는 일과 주위에 대한 인색함, 그리고 고립이다. “그는 돈이 있으나 가족도 친구도 없다. 그는 탐욕 때문에 홀로 남겨졌다.”(O’Donnell) 인색한 사람 곁에는 친구가 없다. 그는 받기만 하고 주는 법이 없다. 탐욕이 그의 모든 관계를 단절시켰다.

Q. 9~12절은 고립 보다 '함께 함'이 유익하다고 알려줍니다. 유익한 점들을 찾아보세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9절 : 협력하면 혼자 일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는다.
10절 : 함께 하는 사람이 있으면 넘어진 상대방을 일으켜준다. 함께 하면 실패와 좌절을 극복할 수 있다. 
11절 : 어떤 상황에서는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그들은 상대에게 감정적 위로를 줄 수 있다. 이것은 추운 사막에서 밤을 지낼 때 온기를 위해 곁에 누워야 하는 여행자에게서 나온 이미지다.”(Garrett) “당시 사람들은 침낭이나 담요를 갖고 다니지 않았다. 덮을 거라고는 겉옷이 전부였다.”(Greidanus)
12절 : 위험을 당할 때, 함께 대적에게 맞설 수 있다. “세 겹 줄은 세 가닥을 꼬아 만든 밧줄이다. 외줄은 쉽게 끊어진다. 두 겹 줄은 더 강하다. 세 겹 줄은 훨씬 더 강하다. 예화에서 둘, 둘, 둘을 반복함으로써, 전도자는 셋이라는 절정으로 옮겨간다.”(Greidanus)

Q. 홀로 있어서 괴로웠던 일, 혹은 함께 해서 유익했던 경험을 나눠봅시다.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홀로 광야로 탐험을 떠났다가 조난을 당한 사례가 있다. 바위 틈에 팔이 끼여서 움직일 수 없게 되자, 외로운 탐험가는 살기 위해 자기 팔을 잘라내야 했다.

Q. 인생에서 나와 함께 할 사람은 누구라고 생각하나요?
  A. 자녀의 말을 들어 보자.

** 가족, 좋은 친구, 교우는 인생에 꼭 필요하다. 그리고 그 누구보다 주님은 우리 인생의 동반자다. 주님은 진정한 내 형제요, 내 친구요, 내 협력자요, 내 용사요, 내 왕이시다. 죽음 너머까지 동행하시는 분은 주님뿐이시다. 그리고 주님은 이 세상에서 살아갈 우리를 위해 그분의 영적 몸인 교회 공동체를 주셨다.

시편 28:7
“여호와는 나의 힘과 나의 방패이시니 내 마음이 그를 의지하여 도움을 얻었도다 그러므로 내 마음이 크게 기뻐하며 내 노래로 그를 찬송하리로다”

사도행전 2:44-46
“믿는 사람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 주며, 날마다 마음을 같이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13~16]

Q. 13절에서 지혜로운 젊은이와 늙은 왕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늙은 왕이 젊은이보다 못한 이유는 경고를 받을 줄 모르기 때문입니다. 왜 늙었으나 듣지 않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이스라엘에서 노인은 지혜롭다고 여겨졌다. ... 이 어리석은 왕은 첫째 이야기에 나오는 부자만큼이나 외톨이다. ... 그는 조언자를 해고해 버렸다. 그는 혼자 하려 한다. 그도 외톨이다.”(Greidanus) “젊은이는 경고를 받을 줄 안다는 점에서 늙고 둔한 왕보다 낫다. 그는 정치적 사다리를 올라가는 위험과 위기를 안다. 그러나 왕은 완고하고 움직이지 않으며 변화된 상황에 반응하지 않는다.”(Garrett) “솔로몬은 자신이 하나님의 백성을 다스릴 수 있도록 하는 선물로 ‘듣는 마음’을 구했다. 어리석은 자는 다름 아닌 듣지 않으려는 사람이다.”(Murphy)

잠언 12:15
“미련한 자는 자기 행위를 바른 줄로 여기나 지혜로운 자는 권고를 듣느니라”

Q. 13~16절은 젊은 나이에 왕이 된 한 사람을 소개합니다. 그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요?
  A. 인생 역전을 실현한 인물이다.

** 가난하게 태어나 감옥에도 들어갔으나 왕이 되었으니, 인생 역전을 실현한 인물이다. “참고로 감옥에서 나와서 통치한 사람이 왕인지 젊은이인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문맥으로는 젊은이인 것이 분명하다.”(Bartholomew) 인생들이 젊은이와 함께 있고 그의 치리를 받는 모든 백성들이 무수하였다(15-16a).

Q. 16절하, 인생 역전하여 높은 지위와 명예를 얻은 젊은 왕의 삶 역시 헛되다고 평가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말씀하나요?
  A. “후에 오는 자들은 그를 기뻐하지 아니하리니”

** 수많은 사람들이 젊은 왕과 함께 했고, 셀 수 없이 많은 백성들이 그의 다스림을 받았지만, 후세대는 그를 기억하지 않았다.

Q. 16절, 왜 후에 오는 자들은 그(왕)를 기뻐하지 않았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인기 가수였어도 불과 몇 년도 안 되어 사람들은 그를 기뻐하지 않고 기억하지도 않는다. 정치인에 대한 인기도 쉽게 바뀌며, 지혜로운 지도자라고 해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도 아니다. 이 말씀은 정치 자체가 잘못이거나 정치인이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의 인기가 가치 있는 인생을 만들지 못한다. “이 이야기를 통해, 전도자는 지혜가 이생에서 우리를 인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경고한다.”(Greidanus)

Q. 많은 사람의 인기도 헛되고, 홀로 사는 것은 해롭습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많은 사람들의 인정과 인기를 추구하며 사는 삶은 헛되다. 독불장군 혹은 외톨이가 되어 사는 것은 외롭고 불행하다. 우리는 다른 사람과 협력하며 살아야 한다. 가족과 사랑을 나누고, 마음이 맞는 친구 몇 명과 깊은 우정을 가지며, 교우와 함께 일하고 교제하며 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스도인들은 개인주의자여서는 안 된다. ... 우리의 개인적 성취는 모두 잊혀진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 나라를 위해 함께 해낸 일은 영원하다.”(Greidanus)

Q.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가 좋은 형제, 좋은 친구, 좋은 동료가 되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A. 자녀의 말을 들어 보자.

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