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0

2116 굽은 세상에서 사는 법(2)(7:23~29)

성경 : 전도서 7장 23~29절

1. 함께 성경읽기

2. 단어의 뜻 알아보기
   26절 올무 : 새나 짐승을 잡기 위하여 만든 올가미.

             포승 : 捕 잡을 포, 繩 노끈 승.
             죄인을 잡아 묶는 노끈. [네이버사전]

3. 세 가지 질문을 생각하며 성경 다시 읽기
   ① 무슨 뜻인가? What
   ② 왜인가? Why
   ③ 어떻게 살까? How

4. 생각의 시간

5. 본문이 무엇을 말씀하는지 생각 나누기

6. 자녀가 궁금한 것을 질문하고 함께 토의하는 시간

먼저, 자녀가 말씀에 관해 궁금한 것을 질문합니다.

[23~24]

Q. 23~24절. 전도자는 지혜자가 되려고 했으나 이루지 못했습니다. 무엇 때문일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이미 있는 것'은 현실에서 볼 수 있는 세상을 가리킨다. “당혹스러운 삶의 현실은 멀리 있고 극도로 깊다.”(Loader) 전도자인 솔로몬은 최고의 지혜를 가졌으나 완전한 지혜자가 되지는 못했다. “하나님이 어떤 일들이 그렇게 일어나도록 인도하고 허락하시는 이유는 우리의 이해를 초월한다.”(Greidanus) 

[25~29]

Q. 26절, 전도자가 발견한 위험한 여자는 누구일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이 구절에서 여인은 “우매 자체의 복합적 이미지”(Seow), '악의 유혹'(Greidanus)이다. 잠언에서 위험한 여인은 특히 음란한 여자를 가리킨다. “전도서의 유혹자는 솔로몬의 잠언과 마찬가지로 성적인 것이든 다른 것이든, 어리석음을 의인화하고 구현한 것이다.”(O’Donnell)

Q. 26절, 왜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자는 그 여인을 피하고, 죄인은 그 여인에게 붙잡힐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자’는 하나님의 법도를 따라 사는 사람이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경계하시는 음란한 여인, 어리석은 일, 악의 유혹을 피한다. 하지만 죄인은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기 때문에 여인의 덫에 걸리고 만다.

Q. 이 세상에서 이 '위험한' 여인에게 붙잡힌 죄인은 구체적으로 누구인가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이 여인은 사냥꾼이다. 이 여인 자체가 '올무'다. ... 일단 잡히면 절대로 빠져나가지 못한다.”(Greidanus) 각종 중독자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알콜 중독자, 음란물 중독자, 도박 중독자, 도둑질 중독자 등등. 이 밖에도 교도소에는 이 여인의 포획물들로 가득하다. 

Q. 28절, 전도자가 찾은 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왜 여자 중에서는 찾지 못했을까요?
  A.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자(26), 혹은 '정직한 사람'(Murphy).

** 그러나 “그가 천 사람 가운데서 찾아낸 한 사람도 물론 죄인이다.”(Ryken)
“솔로몬이 성차별주의자는 아니다. 그는 천 명의 여자와 결혼했으며 그들 모두 다른 신을 섬겼다. 그들에 비해 솔로몬 궁전에서 선한 남자의 비율은 그래도 낫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수치와 관련하여 덧붙일 수 있는 건 두 등식이(남자나 여자나) 사실상 같다는 것이다. ... 솔로몬의 철저하고도 빈틈없는 연구의 결론은, 우리는 우리의 타락한 본성만 잔뜩 알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O’Donnell)

Q. 29절. 세상에서 사람들은 태어난 사람의 본성(근본)을 선하다고 보나요, 악하다고 보나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성선설은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선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동양에서는 맹자, 서양에서는 키케로, 세네카, 루소 등이 성선설의 입장에 있다. 성악설은 사람은 본래부터 악하다는 관점이다. 동양에서는 순자, 서양에서는 어거스틴, 홉스, 쇼펜하우어 등이 성악설의 입장에 있다. 또하나 사람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게 태어난다는 관점도 있다. 동양의 고자, 서양의 에라스무스, 로크 등이 취한 입장으로, 사람의 선악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네이버사전 발췌요약]

Q. 29절, 전도자의 깨달음은 인간의 본성에 관해 무엇을 말씀하고 있나요?
  A. 선하게 창조됐으나 스스로 악하게 되었다.

** 하나님께서 사람을 본래 선하게 지으셨다. 하지만 사람이 스스로 악하게 되었고, 이후 태어나는 사람은 악한 본성을 갖고 태어나게 되었다. 창세기에서 “‘심히 좋았더라’라는 말을 들은 사람이 심히 악한 일을 했다. 그는 하나님과 같이 되고 싶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다. 그의 후손들은 ... 온 땅을 폭력으로 물들였다.”(O’Donnell)

Q. 15~29절 본문 말씀에서 알 수 있는 이 세상은 어떤 곳인가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전도서 7장 15~18절에서 솔로몬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굽은 세상임을 발견한다. 이어 19~24절에서 그는 세상은 지혜자조차 죄를 범하는, 죄인으로 가득한 굽은 세상임을 발견한다. 끝으로 25~29절에서 솔로몬은 지혜자조차 죄를 범하는 이 굽은 세상이 어리석은 자로 가득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O’Donnell)

Q. ○○는 이 세상이 죄로 타락한 곳임을 어떤 경우에 확인하게 되나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매일 언론에서 쏟아내는 수많은 기사들을 확인해 보자. “우리가 세상에서 보는 악은 하나님 탓이 아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정직하게 지으셨다. 그런데 사람이 많은 꾀를 내어 고통과 수고와 죽음에 이르렀다.”(Greidanus)

Q. 29절, 모든 사람은 죄인들으로서 전혀 가망이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죄인을 위해 무슨 일을 하셨고, 또 무슨 일을 앞으로 하실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전도서 7장 29절은 성경의 마지막 말이 아니다. 그리스도 예수께서 세상에 오셨다! 그리스도는 죽으셨다. 그리스도는 다시 살아나셨다. 그리스도는 다시 오실 것이다. 십자가는 우리의 죄를 덮는다. 주님은 영광 가운데 다시 오셔서 악인을 심판하시고 의인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실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만물의 되어질 일에 대한 하나님의 대답이다.”(O’Donnell)

Q. 그리스도인은 어떤 존재인가요? 선할까요, 악할까요?
  A. ‘죄를 짓는 의인’

** 마틴 루터는 그리스도인을 가리켜 ‘죄를 짓는 의인’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 덕분에 의롭다고 '칭해졌다'. 하지만 실제 삶에서는 죄를 여전히 짓는다. 그럼에도 성도는 하나님의 은혜로 점점 더 선한 삶을 사는 성화의 과정을 일평생 거친다.

Q. 전도자가 주는 교훈은 세상에서 내가 살아가는데 어떤 식으로 도움을 주나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그리스도인일지라도 우리는 스스로의 힘으로 의를 이룰 수 있다는 생각을 가져선 안된다. 또한 타락한 세상이 사람의 힘으로 완전히 정의로운 사회로 바뀔 것이라고 기대하는 태도도 합당하지 않다. 우리의 의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우리는 그분을 의지해서 살며, 타락한 세상 속에서 죄 짓는 의인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추구해야 한다.

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