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읽기 : 마태복음 14장 22~33절
Q. 본문 사건 앞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요?
A. 예수님께서 오병이어의 기적을 베푸셨다.
Q. 이 일 후에 예수님이 무엇을 재촉하셨나요?(22)
A. 제자들이 배를 타고 앞서 건너편으로 가게 하셨다.
** ‘재촉하다’는 원어로 ‘강제로 무엇을 하게 하다’를 뜻하는 말, 예수님이 제자들을 강하게 재촉했음을 의미한다. 예수님의 재촉은 오병이어 사건 이후 ‘즉시’ 이루어졌다.
Q. 왜 예수님은 오병이어 사건 이후 즉시 제자들을 무리에게서 떠나게 하셨을까요?
A. 무리가 예수님을 임금으로 삼으려는 움직임에 제자들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하시기 위해서
** 예수님은 다윗과 같이 왕이 되는 정치적 메시야가 아니었다. 떡을 먹고 배부른 무리의 욕망에 제자들이 동조하는 것을 예수님은 막기 원하셨던 것 같다. “제자들 모두가 그 위대한 이적 및 무리의 움직임에 의해 강렬한 흥분을 느꼈음이 분명하다. 그것은 메시야와 그의 왕국 역사에 있어 위기였다.”(A. Edersheim)
Q. 예수님은 무리를 보내신 후에 무엇을 하셨나요?(23)
A. 기도하러 따로 산에 올라가셨다.
Q. 예수님이 무슨 기도를 하셨다고 생각하나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예수님을 억지로라도 왕으로 삼고자 했던 무리들을 생각하며 육신적인 일이 영적 실재로 되어지기를 기도하셨을 것이다.”(A. Edersheim) 또한 제자들이 무리의 움직임에 충동되어 세속적인 열망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기도하신 것 같다.
Q. 하나님의 백성이 이 세상의 재물과 성공을 추구하면, 예수님은 어떤 마음이실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Q. 제자들이 탄 배는 어떤 상황을 겪고 있었나요?(24)
A. 바람이 거스르므로 물결로 말미암아 고난을 당하더라
** “상황은 8:24의 폭풍과 비슷해 보인다. 이번에 제자들이 곤경에 처한 것은 침몰할 위험이 임박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앞으로 나아갈수 없다는 것이었다.”(R.T.France)
Q. 제자들은 얼마나 오래 배에서 어려움을 당했을까요?
A. 해질녘부터 새벽 3시에서 6시 사이까지
**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오신 밤 사경은 오늘날 시간으로 새벽 3시에서 6시까지이다. “예수께서 대부분의 밤을 기도로 보내셨고,”(R.T.France) 예수님이 오실 때까지 제자들은 폭풍우와 싸우며 힘겹게 노를 저었을 것이다.
Q. 예수님이 배를 탄 제자들에게 어떻게 가셨나요?(25)
A. 바다 위를 걸어서
** “이 이적은 단순히 그분의 권능을 보이시기 위함만은 아니었다. 그들의 어려움을 도우시려는 마음에서 행해진 것이기도 했다. 때는 유월절(니산월 15일) 직전으로 청명한 하늘에 달이 밝게 비추고 있었다.”(A. Edersheim)
Q. 바다 위를 걸어오시는 예수님을 보자 제자들은 어떻게 반응했나요?(26)
A. 놀라 유령이라 하며 무서워하여 소리 질렀다.
**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은 악령이 바다에 산다거나 익사한 사람이 물에서 출몰한다고 믿었다.”(R. T. France) “제자들은 어떤 악한 영이 자기들을 유혹하는 줄로 생각했다.”(Michael J. Wilkins)
Q. 제자들이 놀라자 즉시 예수님은 무엇이라고 말씀하셨나요?(27)
A. 안심하라 나니 두려워하지 말라
** “'나니'. 이것은 출애굽기 3:14에서처럼 여호와의 신성한 이름을 의식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예수께서 지금까지 자신의 신성에 대해 가장 분명한 자기 계시일 것이다.”(C. L. Blomberg)
Q. 베드로는 “주여 만일 주님이시거든 나를 명하사 물 위로 오라 하소서” 말했습니다. 왜 베드로는 물 위로 오라고 해 달라고 말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만일 당신이라면'(28)은 ... '당신이시니, 제가 당신이 하시는 것과 같은 일을 할 수 있게 해 주십시오.' 베드로는 예수님의 기적을 모방할 수 있는 능력을 구한다.”(C. L. Blomberg)
Q. 예수님이 ‘오라’고 말씀하시자 베드로는 무엇을 했나요?(29)
A. 배에서 내려 물 위로 걸어서 예수께로 가까이 갔다.
Q. 어두운 밤, 세찬 바람이 부는데 베드로는 물 위를 걸어 예수님께 갔습니다. 베드로의 기분이 어땠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Q. 베드로를 바라보는 다른 제자들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Q. 물 위를 걷던 베드로는 왜 물에 빠지기 시작했나요?(30)
A. 바람을 보고 무서워했다.
Q. 왜 베드로는 바람을 보고 무서워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Q. 예수님은 베드로를 즉시 붙잡으시며 무엇이라고 말씀하셨나요?(31)
A. 믿음이 작은 자여 왜 의심하였느냐
** “'의심'이라는 단어는 한 번에 두 가지 다른 방향으로 가려고 하거나, 두 명의 다른 주인을 동시에섬기는 생각을 의미한다.”(C. L. Blomberg)
“‘믿음이 작은’이란 말은 ‘믿음이 없는’ 것과는 다르다. 베드로는 믿음을 갖고 있다. 단지 믿음이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할 뿐이다. 그것은 ‘효과적이지 못한 믿음’이었다.”(Wilkins)
Q. 베드로가 믿음으로 물 위를 계속 걷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베드로는 바람과 물의 위험이 아니라 주 예수님만 바라보아야 했다. “베드로의 문제는 지적인 확신이 부족했다기보다는 눈으로 보이는 증거와 예수님의 초대 사이에서 갈등한 것이었다.”(France) “믿음은 일시적인 감정이 아니라 예수님을 끊임없이 신뢰해야 하는 것이다.”(Wilkins)
Q. 예수님이 배에 오르자 배에 있던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했나요?(33)
A. 예수께 절하며 이르되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로소이다
** 예수님이 배에 오르시자 거센 바람도 멈추었다. 이는 예수님이 자연을 다스리시는 분임을 보여준다.
Q. 왜 제자들은 예수님이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말하면서 절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물 위로 걸으시는 분으로 묘사한다.(욥기 9:8) 예수님이 물 위를 걸으심은 그분이 자연세계를 통제하시는 하나님이심을 보여준다. “폭풍이 가라앉고 제자들의 예수님에 대한 이해는 새로운 경지에 도달한다. 그러나 이 고백에는 여전히 무언가 부족하다. 왜냐하면 16:13-20이 제자들에게 더 큰 이해(와 실패)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 사실 예수님의 추종자들은 믿음과 의심이 섞인 경험을 정기적으로 한다.”(C. L. Blomberg)
Q. 오병이어 사건 이후 왜 예수님은 물 위로 걸어가시는 모습을 제자들에게 보여주셨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주님의 입장에서는, 바다 위를 걸으시는 이적을 통해, 그들로 하여금 거친 물결을 다스리시는 자신의 전능하심을 배우게 하고자 하셨다. 그뿐 아니라 왕의 자리를 거부한 데 대해 실망하고 있었던 제자들에게 자신이 더 차원 높고 진정한 의미에서 왕이심을 깨닫게 하고자 하셨다.”(A. Edersheim)
Q. ○○가 이 세상에서 예수님을 믿음으로 따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A. 자녀의 말들 들어보자.
기도 : 하나님 아버지, ○○가 예수님이 창조주요 온 세상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확신하게 하옵소서. 이 세상에서 주님의 뜻을 이룰 때에 환경을 바라보지 않게 하시고 오직 주님을 바라보고 믿음으로 행하게 하옵소서. ○○가 믿음 안에 더욱 성장하며 모든 환경 속에서 주님을 예배하게 하옵소서.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 아멘.
** 인쇄방법 : 그림 위에 커서를 둡니다. ⇨ 마우스오른쪽버튼 클릭 ⇨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