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0

2104 전도자의 실험

성경 : 전도서 2장 1~11절

1. 함께 성경읽기

2. 단어의 뜻 알아보기
  8절 처첩 : 妻 아내 처, 妾 첩 첩.
         아내와 첩을 함께 이르는 말.
         첩이란 정식 아내 외에 데리고 사는 여자. [네이버사전]

  9절 창성 : 昌 번성할 창, 盛 완성할 성.
         기세가 크게 일어나 잘 뻗어 나감.
         원어로 ‘크게 되었다’, ‘더 뛰어나게 되었다’는 뜻이다.

3. 세 가지 질문을 생각하며 성경 다시 읽기
    ① 무슨 뜻인가? What
    ② 왜인가? Why
    ③ 어떻게 살까? How

4. 생각의 시간

5. 본문이 무엇을 말씀하는지 생각 나누기

6. 자녀가 궁금한 것을 질문하고 함께 토의하는 시간

먼저, 자녀가 말씀에 관해 궁금한 것을 질문합니다.

Q. ○○는 무엇을 하면 즐거운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1~3]
Q. 1절, 전도자는 지혜를 연구한 뒤에 왜 자신을 즐겁게 하려고 했을까요?
  A. 즐거움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

** “1:18에서 전도자는 ‘지혜’가 번뇌와 고통만 가져온다고 관찰했다. 그렇다면 아마도 그에 대한 반응은 곧장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다.”(Craig G. Bartholomew) 전도자는 쾌락에서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다. 

Q. 전도자는 "보라 이것도 헛되도다"라고 결론을 먼저 꺼냈습니다. 왜 전도자의 시도가 헛되고 말았을까요?
  A. 하나님 없이 즐거움을 추구했기 때문.

** 전도자는 큰 권세와 능력으로 하고 싶은 모든 것을 해 보았다. 그 마지막 결론은 '이것도 헛되도다'이다.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 자체는 잘못이 아니다. 문제는 전도자가 '해 아래에서' 누리는 즐거움에서 의미를 찾으려 한다는 것이다.”(Greidanus) 하나님과 관계없는 모든 일들은 결국 아무런 유익이 없다. 

Q. 2절, 왜 전도자는 웃음이 미친 것이라고 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하나님 없이 참된 기쁨은 없다. 죄로 부패한 세상에서 타락한 사람이 자신의 삶의 무의미와 장래의 비참한 운명을 안다면 결코 웃을 수 없을 것이다.

Q. 3절, 전도자는 내 마음을 지혜로 다스리면서 술로 내 육신을 즐겁게 했다고 말씀합니다. 무슨 뜻인가요?
  A. 분별력을 잃지 않은 채 술의 즐거움을 누려보겠다는 뜻.

** “술에서 낙을 누리되 그것에 사로잡히지 않겠다는 것이다. 전도자는 쾌락에 빠지는 것을 이성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면, 그것이 과연 삶에 의미를 줄 수 있는지 알고 싶었던 것이다. 그의 실험은 방탕에 대한 것이 아니라 즐거움에 대한 실험이었다.”(Duane A. Garrett)

[4~8]
Q. 4~8절, 전도자는 인생의 즐거움을 위해서 사업을 벌였습니다. 무슨 일을 했다고 말씀하나요?
  A. 집들 짓기, 포도원, 동산과 과원 조성, 과목들 심기, 못들 조성 / 노비들 소유, 소와 양떼 최고로 소유, 은금과 각종 보배 모으기 / 많은 가수들의 노래를 즐김 / 예쁜 처첩들과 성적 즐거움을 가짐.

** 오늘날 지혜의 왕인 솔로몬만큼 사업을 다양하고 크게 벌일 사람은 거의 없다. 솔로몬의 사업은 이 세상에서 사람들이 바라는 일들이고 일평생 행하는 일이다.
“본문에 나오는 ‘심다’, ‘물주다’, ‘만들다’, ‘동산’, ‘각종 과목’ 등의 단어는 창세기 2장 에덴동산에 나오는 단어와 같다.”(Verheij) “전도자는 마치 하나님처럼 에덴을 재창조하려 한다.”(Bartholomew)

[9~11]
Q. 10절, 전도자는 “무엇이든지 내 눈이 원하는 것을 내가 금하지 아니하며 무엇이든지 내 마음이 즐거워하는 것을 내가 막지 아니하였으니”라고 말씀합니다. ○○가 무엇이든지 원하는 것을 얻고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면, 무엇을 하겠어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Q. 11절, 전도자는 사업을 크게 일으키고 자기가 원하는 모든 일을 했습니다. 그가 내린 결론은 무엇인가요?
  A. 무익한 것이로다.

** 11 그 후에 내가 생각해 본즉 내 손으로 한 모든 일과 내가 수고한 모든 것이 다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며 해 아래에서 무익한 것이로다

Q. 11절, 전도자는 생각해 본 후, 왜 자기가 한 모든 일이 다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며 해 아래에서 무익한 것이라고 알았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전도자는 4~8절에서 ‘나를 위하여’를 4번이나 반복한다. 타락한 세상에서 하나님과 관련 없는 모든 일은 결국 자기에게 아무런 이익도 남기지 않는다. “솔로몬이 열거한 내용은 모두 자신에게 초점을 맞춘다. 자기를 위한 추구가 역설적으로 자아를 만족시키지 못했으며 즐거움도 주지 못했다. 그의 실패는 이기심의 죄, 우상숭배의 죄와 관계된다.”(Douglas Sean O’Donnell)

Q. 세상 사람들은 전도자처럼 자신의 일을 헛되고 무익하다고 생각하고 있나요? 만약 전도자처럼 생각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우리 시대의 주된 사상은 소비자 중심주의다. 소비자 중심주의의 핵심은 소유와 경험을 통해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다. 술, 많은 저택, 음악, 예술 등을 통해 얻는 쾌락은 우리 시대의 선이 되었다.”(Bartholomew)
인간은 먼 안목을 갖지 못한 채 눈 앞의 성취에 만족하는 경향이 있다. 궁극적으로 자기의 모든 노력이 증기처럼 사라질 것을 깨닫지 못하고 무지 가운데 열심히 살아간다. 

Q. 쾌락은 나쁜 것인가요? 쾌락과 쾌락주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쾌락은 나쁘지 않고 오히려 선하다.

** 쾌락주의 : 쾌락을 가장 가치 있는 인생의 목적이라 생각하고 모든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 내지 도덕의 원리로 생각하는 사상. 행복주의의 하나.[표준국어대사전-네이버]“쾌락주의 문제의 핵심은 우상숭배에 있다. 쾌락은 선하게 창조되었다. 하지만 쾌락주의는 창조주 하나님에게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을 쾌락에서 찾는다.”(Bartholomew)

Q. 이 단락은 타락한 세상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어떤 교훈을 주나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람의 즐거움을 회복하셨다. 헛된 즐거움을 참 즐거움으로, 바람 잡는 일을 이익이 남는 일로 바꾸셨다. “그리스도만이 영혼을 만족시키신다.”(O’Donnell) 그리스도인들은 세상 사람들처럼 자기를 위한 사업이나 쾌락을 인생 목적으로 삼아 살아서는 안 된다. 

데살로니가전서 5:16
항상 기뻐하라

빌립보서 4:4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