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본문 : 데살로니가전서 1:9~10
9 그들이 우리에 대하여 스스로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너희 가운데에 들어갔는지와 너희가 어떻게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살아 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을 섬기는지와
10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그의 아들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실 것을 너희가 어떻게 기다리는지를 말하니 이는 장래의 노하심에서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시니라
① (함께/혼자) 성경 읽기
② 의미를 생각하며 성경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성경 읽기
단어 설명
9절
우상
“데살로니가에도 상당수의 이교 의식들과 다양한 신전이 있었다. 고고학적 증거는 데살로니가에서 25개가 넘는 신들과 영웅들 및 미덕의 화신들이 숭배되고 있었다. 구체적인 신은 디오니소스와 이집트의 신들, ... ,데살로니가 수호신 카비루스 등을 포함한다. 데살로니가에서 또 하나 중요한 것은 황제 숭배인데, 이는 개개인 황제들을 신들로 숭배하는 것이다. 그 밖에 덜 숭배 받는 신들은 제우스, 휩시스토스, 헤라, .... 등을 포함한다.”(Jeffrey)
문맥 설명
“1장 9~10절은 ‘왜냐하면’으로 시작하고 있다. 이 구절들은 앞 구절에서 암시된 데살로니가 신자들의 개종을(8절 ‘하나님을 향하는 너희 믿음’)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의도된 것이다.”(Jeffrey)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9절
Q. 9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그들'과 '우리'는 각각 누구이고, 왜 우리에 대하여 말했을까요?
A. 그들 : 마게도냐와 아가야에서 믿음의 소문을 들은 그리스도인들.
우리 : 바울과 동역자들
** 소문에는 데살로니가 신자들의 믿음이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 포함됐을 것이다. 자연스럽게 사도 바울과 동역자들에 관해 말했을 것이다.
Q. "우리가 어떻게 너희 가운데에 들어갔는지"는 무슨 뜻인가요?
A. 바울과 동역자들이 데살로니가에서 복음을 전한 사건을 의미함.
** 데살로니가 교회가 세워진 것은 바울과 동역자들의 전도 활동에 있었다. 그들은 데살로니가에서도 핍박을 받았으나 복음을 담대히 전했다. “바울 선교의 기초를 세우는 방문의 진정성을 강조한다. 바울은 자신이 데살로니가 신자들의 개종에 중대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상기시킨다. 그리하여 자신과 최초 독자들과의 관계를 굳건히 한다.”(J. Weima)
Q. 데살로니가 사람으로서 우상을 버린다는 것은 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모든 이방신들을 전적으로 포기한다는 것은 이런 이방신들을 예배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양한 사회적 행사를 전적으로 거부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리스도인들의 그 같은 행동은 비그리스도인 가족 구성원과 친구들에게서 원한과 분노의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데살로니가 시민들은 신성을 더럽히는 행동에 대해 신들이 질병과 기근이나 다른 자연 재해들을 보내어 도시 전체를 벌하지 않을까 염려했다. 또한 우상을 버린 것은 황제 숭배 의식을 거부한 것도 의미했다. 이 때문에 데살로니가가 로마 및 황제와 누렸던 우호적 지위를 잠재적으로 위태롭게 할 가능성도 있었다. 데살로니가 그리스도인들은 자연히 동족으로부터 원한과 분노를 초래하게 되었다.”(Jeffrey)
Q.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을 섬기는 모습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데살로니가 교회는 우상에게 절하지 않고, 도시에서 열리는 우상 축제에 참여하지도 않았다. 함께 모여서 하나님께 찬송하고 기도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배웠다. 하나님을 섬김은 말씀에 순종함으로 나타난다. 우상을 버림, 거룩한 삶, 형제를 사랑하는 삶 등이 주요 특징이다.
10절
Q. 10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강림하실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렸습니다. 기다리는 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사람들이 그들의 마음을 알았을까요? 그들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났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방탕한 삶을 버렸을 것이다. 또한 자기를 절제하여 비도덕적인 말이나 행동을 삼가고, 재물도 세상 사람들과 다르게 사용했을 것이다. 아마 그들은 가난한 교우를 돕기 위해 물질을 기꺼이 내어줬을 것이다(살전4:9). 예수님 재림에 대한 믿음이 주님 오심을 준비하는 삶으로 드러나서 사람들이 그 믿음을 눈으로 볼 수 있었다.
Q. "이는 장래의 노하심에서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시니라“에서 노하심은 누구의 노하심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A. 하나님의 노하심, 노하시는 이유는 사람들의 죄악 때문이다.
** 장래의 노하심은 마지막 날 주의 심판을 가리킨다.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인간은 철저한 죄인들이다. 죄인들은 영원하신 하나님의 뜻을 거역했으므로 그 형벌도 영원하다. 게다가 하나님의 아들을 구원자로 믿기를 거부하는 일은 하나님의 큰 사랑을 거부하는 죄를 더한다. 하나님의 노하심은 그분의 거룩함에 상응하여 맹렬하다. 모든 사람은 하나님의 노하심에서 건지시는 예수님에게로 피해야 살 수 있다.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