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본문 : 야고보서 1:18
그가 그 피조물 중에 우리로 한 첫 열매가 되게 하시려고 자기의 뜻을 따라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으셨느니라
① (함께/혼자) 성경 단락 읽기 (약 1:2~18)
② 의미를 생각하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문맥 설명
야고보는 하나님께서 시험(유혹)하지 않으시는 분이라고 설명(13절)한 뒤에, 죄의 책임은 각 사람에게 있음을 알려줬다(14-15절). 이어서 하나님의 선하심에 대해 설명한다(17-18절).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18절
Q. 18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그가 곧 하나님께서 “우리를 낳으셨느니라”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은 선하신 분입니다. 그가 낳으신 자녀인 우리는 어떤 존재임을 가리키나요?
A. 소중하고 선한 존재
** ‘낳으셨다’는 표현은 인간이 행하는 출산과정을 연상케 한다. 자녀는 부모를 닮게 태어난다. 하나님께서 선하신 분이므로 인간도 선한 존재로 태어났음을 알려준다. 처음에 하나님께서 인간을 빚으셨다면, 두 번째로는 ‘낳으셨다’. 출산의 고통 보다 더한, 소중한 외아들을 십자가 고통 속에 죽게 하시는 고통을 감내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그분의 자녀로서 소중하게 여기신다. “야고보는 하나님의 좋고 신실한 선물의 놀랄만한 예로 그리스도의 ‘새 출생’을 언급한다.”(Moo)
Q. “자기의 뜻을 따라” 우리를 낳으셨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자기의 뜻을 따라. “이것은 ‘하나님의 목적을 따라’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하나님께서 진리의 말씀으로 신자를 ‘계획적으로’ 낳으신다.”(McCartney) 하나님의 뜻을 따라 우리를 낳으셨다는 말씀은 인간의 선택이나 공로가 개입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이고 자유로운 뜻에 의해 우리를 낳으셨다는 뜻이다.
Q. 하나님께서 낳으신 목적이 “첫 열매가 되게 하시려고”라고 말씀합니다. ‘첫 열매’는 무슨 의미인가요?
A. 하나님의 구원 사역으로 그분의 소유가 된 귀한 백성.
** ‘첫 열매’는 수확 중 가장 먼저 드려지는 귀하고 대표적인 것을 의미한다. “신약 성경에서 ‘첫 열매’는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키는 관례적인 방법이다”(Moo) 신자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 가운데 첫 열매, 즉 하나님의 새 창조의 시작점, 특별한 소유된 백성이라는 뜻이다.
“야고보가 신자를 ‘첫 열매’로 부른 것은 그들을 거룩하다고 선포한 것일 뿐 아니라 나머지 피조물이 기다리고 있는 완전한 구속을 이미 경험하고 있는 자로 분류한 것이다. 이것이 또 의미하는 것은 ‘첫 열매’가 하나님의 성품을 세상에 반영하는 본보기라는 것이다.”(McCartney)
Q.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으셨느니라”는 무슨 의미인가요?
A. 복음으로 우리에게 참 생명을 주셨다, 복음으로 우리를 구원하셨다.
** 사람들은 육신의 생명은 있으나 하나님과 단절되어 죽은 자들과 같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삼아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를 모두 해결하셨다. 이제 이 복음, 곧 진리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자는 하나님의 생명을 얻는다. 육신의 출생에 이어 다시 태어나므로 거듭 태어난다고 성경은 표현하기도 한다.
Q. 선하신 하나님께서 우리를 낳으셨다는 말씀은 우리가 시험(유혹) 받는 것과 무슨 관련이 있나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진리의 말씀으로 낳았으므로 우리는 거짓에 속지 않아야 한다. 선하신 하나님께서 낳은 자녀들이므로 신자는 유혹을 받더라도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되지 말아야 한다. 빛들의 아버지가 낳은 존재들이므로 우리는 빛으로 사는 것이 마땅하고 자연스러운 존재들이다.
Q. 빛들의 아버지께서 진리의 말씀으로 나를 낳았다는 사실이 나의 존재와 삶에 어떤 의미가 있나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복음을 믿은 신자는 하나님의 새로운 피조물이다. 신자의 정체성은 하나님의 소중한 자녀다. 따라서 빛들의 아버지를 본받아 신자는 모든 선한 일들을 행하며 살아야 한다. 선한 일들이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다. 야고보는 이어지는 말씀에서 말씀을 행하는 일에 대해 언급한다. 또한 말씀에서 벗어난 성냄, 부적절한 말, 차별 대우, 싸움 등 구체적인 삶의 문제를 다룬다.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