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0

야고보서 2:5~6a

◳ 성경 본문 : 야고보서 2:5~6a
5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들을지어다 하나님이 세상에서 가난한 자를 택하사 믿음에 부요하게 하시고 또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나라를 상속으로 받게 하지 아니하셨느냐
6 너희는 도리어 가난한 자를 업신여겼도다

① (함께/혼자) 성경 단락 읽기 (약 2:1~13)
② 의미를 생각하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③ 질문을 찾으며 오늘의 성경 구절 읽기

단어 설명
상속
: 서로 상(相), 이을 속(續).
서로(相) 이어주거나 이어받음(續). 일정한 친적 관계가 있는 사람 사이에서 한 사람의 사망으로 다른 사람이 재산에 관한 권리와 의무 일체를 이어받는 일.[속뜻사전] 상속으로 번역된 말은 원어로 ‘상속자’다.
“문자적으로 할당된 몫을 받는 사람. ‘상속자’; 비유적으로, 종교적 의미에서,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것을 받는 사람”(Friberg)

문맥 설명
야고보는 빈부에 의한 차별을 언급한 뒤에, 그들이 업신여긴 가난한 자를 하나님께서 어떻게 대하셨는지 설명한다.

Q. 오늘 구절의 뜻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Q. 질문을 만들어 보세요.

5-6a절
Q. 5-6a절에 관해 만든 질문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질문이 필요한 경우 아래를 참고하세요.▼

Q. 하나님께서 가난한 자를 택하셔서 무엇을 하셨다고 말씀하나요?
  A. ① 믿음에 부요하게 하시고, ② 약속하신 나라를 상속으로 받게 하셨다.

** “야고보는 가난한 많은 사람이 예수님을 메시아로 받아들였음을 독자들이 잘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들의 개종은 가난한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깊은 관심의 강력한 증거다.”(Moo)

Q. 왜 하나님께서 세상에서 가난한 자를 택하셨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가난한 자는 문자적으로 재정적으로 가난한 자를 가리킨다. 하지만 모든 가난한 자가 하나님의 백성이 되지는 않는다.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마 5:) 말씀처럼 심령이 가난한 사람, 곧 자기 자신의 영적 가난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도움을 간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부자보다는 돈이 없는 가난한 사람이 겸손하기 쉽다.
하나님께서는 겸손한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신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겸손하신 분이기 때문이다(마 11:29). 또한 하나님은 낮은 자를 들어 높은 자를 부끄럽게 하시는 분이시다. 그렇기에 재정적으로나 영적으로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베푸신다. 하나님은 세상적으로 무시받는 자들, 겸손하고 의지할 것 없는 자들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드러내신다.

Q. 어떻게 가난한 자가 믿음에 부요할 수 있을까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가난한 신자는 돈이 없기에 자기 자신을 의지하지 않고 하나님을 더 의지한다. 하나님의 도움을 의지하기에 하나님의 일하심을 삶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한다. 따라서 믿음이 더 굳건해지고, 더욱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게 된다. “믿음에 부요해지는 것은 하나님을 잘 아는 것을 의미한다.”(McCartney) “지위의 현저한 반전 속에서 가난한 자들은 ‘믿음에 부한 자’가 되었다.”(Moo)

Q. 하나님은 가난한 자들에게 하나님 나라를 상속으로 받게 하셨습니다. ‘상속’이라는 말에서 가난한 자들의 신분이 어떠함을 알 수 있나요?
  A. 존귀한 하나님의 자녀.

** 상속은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것을 말한다. 하나님께서는 가난한 자들을 그분의 자녀로 입양하셨고, 그들에게 하나님의 나라를 상속해 주셨다. 따라서 가난한 신자는 천국을 소유한 거부이고, 위대하신 하나님의 자녀라는 존귀한 지위를 가진다. 또한 “종말에 하나님의 의가 이 땅에서 회복될 때, 나라의 ‘상속자’는 이 땅에서 하나님의 통치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McCartney)

Q. 야고보는 ‘너희’가 가난한 자를 업신여겼다고 말씀합니다. 그들의 잘못은 무엇인가요?
  A.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다.

** 하나님께서 귀하게 여기신 자를, 신자들이 세상 기준으로 업신여기고 악하게 판단한 것이다. “야고보는 차별하는 자들이 가난한 자를 선택하시는 하나님과 반대편에 있음을 강조한다. 잠언 17장 5절에 따르면, 가난한 자를 업신여기는 것은 그들의 창조주를 업신여기는 것이다. 그래서 이 차별 행동은 불신앙의 행동일 뿐 아니라 하나님께 모욕이 된다.”(McCartney)

◱ 적용
Q.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고, 삶에 적용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기도
하나님의 말씀에서 깨달은 바를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