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0

백정의 소 잡기

위나라 혜왕이 하루는 정이라는 백정이 소를 잡는 광경을 보았어요. 그가 손을 대고 어깨를 기대며,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 따라 소의 뼈와 살이 서걱서걱 빠각빠각 소리를 내면서 척척 결따라 부위별로 나뉘었어요.

칼이 움직이는 대로 썩둑썩둑 울리는 소리가 마치 숙련된 관현악처럼 운율에 맞고, 각을 뜨는 손놀림이 잘 훈련된 무용단의 춤처럼 일사불란하여 조금도 군더더기가 없었답니다.

혜왕은 그가 시원스레 칼을 놀리는 것을 보고 그 뛰어난 기술을 침이 마르도록 칭찬하였어요. “아, 참으로 놀라운 기술이구나! 어쩌면 이런 경지까지 이를 수 있느냐?”

그러자 정은 이렇게 대답했어요.
“제가 이렇게 능숙한 것은 손재주보다 소의 전체 생리구조를 잘 알고 그에 따르기 때문입니다.
처음에 칼을 들었을 때는 제 눈 앞에 온통 소만 보여서 손을 댈 수가 없었습니다. 3년쯤 지나자 소가 소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소를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봅니다.
소를 앞에 대하면 어디가 관절인가, 어디에 경락이 있는가, 어디로 칼을 댈 것인가, 얼마나 긴 칼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판단이 마음 속에 미리 섭니다.

보통 백정은 억지로 뼈를 가르기 때문에 한 달에 한 번씩 칼을 바꾸고, 솜씨 좋은 백정이라도 억지로 힘줄을 자르기 때문에 한 달에 한 번씩 칼을 바꿔야 합니다.

제가 이 칼을 19년이나 쓰면서 소를 수천 마리나 잡았지만 아직도 금방 간 칼처럼 날카롭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복잡한 부분에서는 전전긍긍하여 마음을 놓지 못합니다. 손의 힘을 완전히 뺀 뒤 아주 천천히 칼을 놀리며, 정신을 집중하여 여간 조심하는 게 아닙니다.

흙덩이가 바닥에 떨어져서 철썩 소리가 나듯 뼈에서 살이 떨어지는 소리가 시원스레 들리면, 저는 마음이 흐뭇해지면서 칼을 든 채 일어나서 흡족하게 둘러보다가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 김태완, 『우화로 떠나는 고전산책』 255~256p에서 스토리 인용 -

Q. 이 이야기에서 배울 점이 무엇인가요?
  A. 자녀의 말을 들어보자.

** 처음에 어떤 일을 할 때는 낯설고 서툴 수 있어요. 하지만 열심히 노력하면 일을 훌륭하게 해 낼 수 있어요. 애기 때는 걷지 못하여 기어 다녔으나, 이제는 걸을 뿐 아니라 달릴 수도 있어요. 무슨 일이든 체계적으로 열심히 연습하면 탁월한 경지에 이를 수 있습니다.

성경말씀 들려주기 :
“네가 자기의 일에 능숙한 사람을 보았느냐 이러한 사람은 왕 앞에 설 것이요 천한 자 앞에 서지 아니하리라”
- 잠언 22:29 -

하나님 아버지
○○가 자기 일을 열심히 하는 마음을 주세요. 주님을 위해 탁월한 실력을 갖추게 해 주세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